3D 웹앱 개발 API 『verge3D 3.3 공개』
verge3D 3.3버전이 출시됐다.
verge3D는 3D웹 어플을 쉽게 제작하도록 도와주는 개발툴kit이다.
https://www.soft8soft.com/do-it-yourself-3d-product-configurator/
사용법은 위와 같이 간단하다.
https://www.soft8soft.com/verge3d/
이번 3.3v부터 달라진 점을 하나씩 체크해보자.
1 속도증가
3.3버전에서는 기존보다 2~3배 정도 속도가 빨라졌다.
webgl 로딩속도는 GPU의 성능이 압도적이다.
이 부분은 verge3D의 성능향상보다 nVidia, ATI에서
RT(realtime)기능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한 영향이 크지 않을까한다.
2 glTF기능향상
현재 3D 웹앱 중에서 glTF와 관련된 기능은 verge3D가 독보적이다.
Maya,Max,Blender유저는 자신이 만든 3D모델을
verge3D를 활용하여 웹 브라우저로 쉽게 보낼 수 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channel/UCcZTsl1ciCnehDgES3WlTGw/videos
verge3D 유투브 채널에는 3D어플별로 튜토리얼을 제공한다.
만일 3D모델을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계획이라면,
gltf를 사용하자. gltf는 fbx,obj보다 10배 가량 가볍기 때문에 웹3D 파일로 제격이다.
3 Javascript API
verge3D 3.3발표에서는 "html5 canvas대응"을 중요한 부분으로 꼽았지만
canvas이상으로 주목할 부분은 Javascript API다.
verge3D는 Javsascript API부분을 확장하고 있다.
하지만 three.js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
three.js를 사용하는 것과 별 차이가 없다.
https://www.soft8soft.com/docs/api/en/index.html
4 Woocommerce
워드프레스의 결제 플러그인, "우커머스"가 verge3D기능에 등장했다.
뜬금없이 우커머스가 왜 등장했을까?
https://www.soft8soft.com/making-a-practical-3d-product-configurator/
verge3D는 2.7버전부터 워드프래스를 기웃거렸는데
결국 플랫폼으로 발전하기 위한 준비가 시작된 게 아닐까한다.
향후, verge3D는 사용자의 3D모델과 파일 또는 씬을
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 형태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.